2011년 4월 11일 월요일

현빈 vs 옥택연, 고양이 그림의 승자는? "누가 더 잘그리나"


[티브이데일리=최민지 기자] 현빈 vs 옥택연, 고양이 그림 대결(?) 승자는?

최근 2PM 멤버 옥택연과 SBS TV 드라마 '시크릿 가든' 속 현빈(김주원)이 고양이 그림 솜씨를 뽐내 주목받고 있다.

김주원은 지난 2일 방송분에서 길라임(하지원)이 아빠로부터 선물받은 고양이와 똑같이 닮은 고양이를 그렸다. 이는 길라임에게 선물할 액세서리의 디자인이었던 것. 이 고양이 주얼리는 시중에 판매돼 벌써부터 인기를 누리고 있다.

또한 최근 옥택연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데뷔 초 부터 그려온 '옥캣'을 공개했다. 옥캣은 케이블TV Mnet '열혈남아'에서 주구장창 고양이만 그려온 옥택연에게 붙여진 별명이기도 하다. 옥택연은 "내 옥캣을 모르다니! 언젠가 캐릭터 상품화할 고양이님이시다!"라는 글을 올려 웃음을 줬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두 사람의 대결에 "이미 우리 주원이가 상품화해버렸어", "옥캣... 아쉽다", "주원이에게 옥캣이 넘어갔어" 등의 반응을 보였다.

2011년 4월 4일 월요일

개발비 350억 ‘징기스칸2’, 테라에 도전장


라이브플렉스, 징기스칸2 국내 퍼블리싱 계약 체결…올 여름 오픈 목표로 현지화 작업중
389*552 (+)

㈜라이브플렉스(대표 김호선)는 중국의 온라인게임 개발사인 기린게임(Beijng Kylin Network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과 무협 MMORPG <징기스칸2>의 국내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상호 긴밀한 협력으로 한국 유저의 성향에 맞춘 ‘징기스칸2’의 현지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2011년 여름 시장을 겨냥해 국내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몽골 제국의 역사를 이끈 징기스칸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징기스칸2’는 기린게임이 3년의 개발기간과 350억원의 개발비를 투자한 대작 온라인 게임으로, 중국에서 동시접속자수 62만 명을 기록한 바 있다.

아울러 지난 9월 중국의 31개 웹진에서 통합으로 진행된 인기투표에서도 <블레이드앤 소울>이나 <드래곤볼 온라인> 및 기타 여러 게임들을 제치고 4주 연속 기대작 1위에 선정되는 등 높은 관심을 받아왔다.

‘징기스칸2’는 현재 국내에서 최고의 기대작으로 손꼽히고 있는 ‘테라’에 비유될 만큼 개발비와 개발 인력이 투입된 온라인 게임이다. ‘테라’의 가장 큰 장점이 화려한 그래픽에 있다면 ‘징기스칸2’는 역사를 바탕으로 한 방대한 스케일과 풍부한 콘텐츠가 핵심 요소다. 그래픽에 대한 투자보다는 게임의 내적인 즐길 거리의 확충에 집중했다.

4개의 국가와 12개의 직업군, 수십 개의 도시와 사냥필드뿐 아니라 인스턴스 던전도 이미 60여 개를 준비돼 있으며, 아시아와 유럽을 정복한 징기스칸의 시나리오를 한편의 대하 역사 소설을 읽는 느낌으로 게임에 옮겨놓았다.

뿐만 아니라 게임 유저가 2D와 3D의 그래픽 수준을 직접 선택할 수 있어 저사양 PC에서도 불편함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라이브플렉스 관계자는 “정액제 과금 방식로의 상용화 모델을 검토할 정도로 게임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호선 라이브플렉스 대표이사는 “징기스칸2는 다양한 게임 요소들을 찾는 국내 유저에게도 높은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월 20일 드라고나의 출시와 추가적인 자체 개발 게임에 이어 훌륭한 신규 퍼블리싱 라인업을 빠르게 확보한 만큼, 2011년 라이브플렉스는 자타가 공인하는 중견 게임기업으로 자리매김 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표현했다.

상진 기린게임 대표이사는 “‘징기스칸2’는 화려한 그래픽보다는 유저들을 위한 게임의 다양한 즐길거리를 더 충실히 준비한 게임이며, 그 어떤 게임에도 뒤지지 않는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있다고 자신한다”라며 “라이브플렉스의 도전적인 게임 퍼블리싱 역량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서비스를 위해 최선의 협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징기스칸2’를 개발한 기린게임은 전작인 징기스칸의 성공적인 개발 및 서비스를 진행해 왔으며, 후속작 ‘징기스칸2’에 이어 ‘몽환료재’ 등의 게임을 개발하고 있는 중국의 중견 게임 기업이다.